안녕하세요, 라보떼입니다 :)
지난 포스팅 '자외선의 종류 및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에서자외선 UVA, UVB, UVC 및 UVA와 UVB에 노출되었을 때 어떤 해로운 결과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 그리고 자외선 차단 정도를 나타내주는 SPF, PA 지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
먼저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무기자차), 두 번째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유기자차) 입니다. 그렇다면 이 두 차단제는 어떤 방식을 사용해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해줄까요?
먼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피부에 얇은 막을 형성해 자외선을 반사시켜 피부 속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 속에 UVA와 UVB가 침투하긴 하지만, 피부속에 스며들어있던 화학적 성분들이 자외선(열에너지)을 받아 분해가 되고, 그로 인해 피부는 자외선의 침투에 따른 손상을 덜 입게되는 원리는 가지고있죠.
그렇다면 내가 구입할 자외선 차단제 물리적 차단제인지, 화학적 차단제인지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자외선 차단제에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산화아연, 산화티타늄이,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대표적으로 옥시벤존, 아보벤존, 옥토크릴 등이 함유되어있습니다.
두 가지 차단제의 특징들을 다음 표에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물리적 차단제 | 화학적 차단제 | |
원리 | 자외선을 물리적으로 반사시킴 | 자외선을 열에너지로 바꿈 |
장점 | 유지력이 뛰어남 | 사용감과 발림성이 좋음 |
단점 |
잘 씻어내지 않으면 모공을 막기 쉬움 발림성이 나빠 발랐을 때 얼굴이 하얗게 뜸 |
자외선 노출 30분 전에 발라야 함 예민한 피부에는 자극이 될 수 있음 벤젠 계열 성분이 체내 내분비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논란이 있음 |
성분 |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 옥시벤존, 아보벤존, 옥티녹세이트, 옥토크릴, 옥틸메톨시신나메이트, 에칠헥메톡시신나메이트 |
2. SPF? PA?
물리적 차단제를 사용할지, 화학적 차단제를 사용할 지 선택을 하셨다면 그 다음엔 어떤 것을 확인해야할까요?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 할 때 중요한 요소가 바로 SPF, PA 지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PF 지수란? Sun Protection Factor를 지칭하며 UVB 차단에 대한 효과를 지수로 표기한 것입니다.
보통 SPF 1당 15분의 지속효과를 가진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SPF50인 선크림을 바른다면 50 X 15분 = 750분이 지속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대부분의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약 3시간마다 덧발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차단률이 80%, 70%, 60% ... 이렇게 떨어지기 때문이죠.
-PA 지수란? Protection Grade of UVA를 지칭하며 PA+부터 PA++++까지의 단계가 있습니다.
PA+ : 자외선 차단에 효과있음
PA++ : 상당한 효과
PA+++ : 차단효과 매우 높음
PA++++ :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은 것 보다 16배정도의 효과
이상으로 자외선 및 자외선 차단제의 종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스킨 케어 > 자외선 차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외선의 종류 및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0) | 2019.08.07 |
---|
댓글